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년 전 한강에서 숨진 채 발견된 대학생 손정민 씨 사건 기억하실 겁니다. <br> <br>당시 한강공원 안전에 큰 우려가 제기됐었죠. <br> <br>1년이 지난 지금은 어떤지 남영주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잔디밭, <br> <br>꽃바구니 위로 젊은 남성 사진이 보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4월 이곳에서 실종됐다 숨진 채 발견된 대학생 손정민 씨입니다. <br> <br>당시 CCTV도 부족하고 화질도 떨어져 경찰 수사가 애를 먹었다는 지적에, 지금은 고해상도 CCTV가 추가로 설치됐습니다. <br><br>고해상도 CCTV로 45m 떨어진 곳에 있는 기자의 모습을 최대로 확대하자,<br><br>스케치북에 적힌 글자는 물론 상의에 있는 마크까지 식별이 가능합니다. <br> <br>같은 조건에서 찍은 구형 CCTV 영상보다 훨씬 선명합니다. <br><br>공원 곳곳에선 CCTV 배선 작업을 하려고 굴착기가 땅을 파고 있습니다. <br><br>서울시는 다음달까지 한강공원 내부 CCTV를 567대까지 늘릴 계획. <br> <br>손정민 씨 사건이 일어나기 전 135대에서 4배로 늘어난 겁니다. <br> <br>여기에 예산 37억 원이 들어갑니다. <br><br>CCTV는 늘지만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인원을 무작정 늘리기도 어렵습니다. <br> <br>[서울시 한강사업본부 관계자] <br>"낮에는 직원들이 수시로 있으니까. 그것(CCTV)만 쳐다보는 직원은 없고." <br> <br>서울시 통합관제센터가 서울의 주요 CCTV를 실시간 주시하지만, 한강 외 다른 지역도 많아 급변 상황에 빠른 대응이 쉽지 않습니다.<br><br>[이경훈 / 고려대 건축학과 교수] <br>"사건사고의 징후 같은 것들이 보일 때 모니터링 되지 않으면 대응이 빠른 시간 안에 되기가 어렵고…." <br> <br>일부 한강 다리에 도입된 AI 영상분석 기술을 활용하는 대안도 거론됩니다. <br> <br>다리 위에 오래 머물거나 난간 밖으로 몸을 내미는 모습이 CCTV에 찍히면, AI가 관제센터에 경보를 보내고 구조대가 출동하는 방식입니다. <br> <br>한강 다리처럼 한강공원 CCTV도 고도화해 입수자 발생 위험 등을 사전 감지하자는 겁니다. <br> <br>그렇다고 기술 의존이 만능은 아닙니다. <br><br>고 손정민 씨가 실종 전 마지막으로 목격된 지점입니다. <br> <br>사건 발생 1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강물로의 접근을 막는 시설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.<br> <br>강물 가까이에서 술자리를 갖거나, 바로 뒤에 강물을 두고 위험하게 사진찍는 모습도 보입니다. <br> <br>강물과 공원을 펜스로 분리하는데 거부감도 상당합니다. <br> <br>[한강공원 이용객] <br>"안전펜스 쳐지면 잘 안 올 것 같긴 하죠. 뭔가 갇혀 있는 느낌이 나서." <br> <br>[한강공원 이용객] <br>"보는 입장에서도 별로 좋지 않을 것 같은데. (음주도) 알아서 관리해야죠. 성인들인데." <br> <br>한강공원을 금주 구역으로 지정하자는 주장에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> <br>[서울시 건강증진과 관계자] <br>"조금 더 시민 여론 수렴한 다음에 진행하려고, 일단 중단된 상태입니다." <br> <br>한강공원의 안전 인프라가 확충되는 가운데, 시민 자율과 안전 규제 사이의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남영주입니다. <br><br>PD : 윤순용 권용석<br /><br /><br />남영주 기자 dragonball@donga.com